반응형
염화칼슘을 뿌려 제설작업을 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과학적 원리에 기반합니다.
1. 어는점 내림:
- 용액의 어는점: 순수한 물은 0℃에서 얼지만, 물에 다른 물질이 녹아 있는 용액은 0℃보다 낮은 온도에서 얼게 됩니다. 이를 어는점 내림 현상이라고 합니다. 염화칼슘은 물에 녹으면서 칼슘 이온(Ca2+)과 염화 이온(Cl-)으로 해리됩니다. 이 이온들은 물 분자 사이에 끼어들어 물 분자끼리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여 어는점을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염화칼슘 용액은 농도에 따라 -55℃까지 어는점이 내려갈 수 있습니다.
- 제설 효과: 눈이나 얼음은 0℃에서 물로 녹지만, 염화칼슘이 뿌려진 도로에서는 염화칼슘 용액이 형성되어 어는점이 낮아지므로 영하의 온도에서도 눈과 얼음이 녹게 됩니다. 즉, 염화칼슘은 주변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도 도로가 다시 얼어붙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2. 발열 반응:
- 용해열: 염화칼슘은 물에 녹을 때 주변의 열을 흡수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열을 방출하는 발열 반응을 일으킵니다. 이때 발생하는 열을 용해열이라고 합니다.
- 제설 효과: 염화칼슘을 눈이나 얼음 위에 뿌리면, 염화칼슘이 주변의 수분을 흡수하며 녹으면서 열을 발생시킵니다. 이 열은 주변의 눈과 얼음을 녹이는 데 도움을 주어 제설 효과를 높입니다.
요약: 염화칼슘은 어는점 내림 현상과 발열 반응을 통해 눈과 얼음을 녹이고 도로가 다시 어는 것을 방지하여 겨울철 안전한 도로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반응형
'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리 섬유 복합재료란 무엇일까요? (0) | 2024.12.02 |
---|---|
소금의 용해와 재결정 과정 (몰농도 개념 포함) (0) | 2024.12.02 |
산성 상태에서 진행되는 유기화학 반응 (0) | 2024.11.20 |
방부제 성분은 왜 사람의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인식을 심어 주는 것입니까?답안 표시 (0) | 2024.11.13 |
두통에 관한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과 이부프로펜(부르펜)의 공통점과 차이점 (2) | 2024.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