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학

소금의 용해와 재결정 과정 (몰농도 개념 포함)

by 생활 과학 콘서트 2024. 12. 2.
반응형


소금의 용해와 재결정 과정 (몰농도 개념 포함)
소금(NaCl)이 물에 용해되는 과정은 NaCl의 이온 결합이 끊어지고 Na+ 이온과 Cl- 이온이 물 분자에 의해 수화되는 과정입니다. 이때 물에 녹을 수 있는 소금의 양은 제한되어 있으며, 특정 온도에서 최대로 녹을 수 있는 소금의 양을 용해도라고 합니다.





용해 과정:
포화 용액: 일정 온도에서 소금을 물에 계속 녹이다 보면 더 이상 녹지 않고 고체 소금이 남아있는 상태가 됩니다. 이때의 용액을 포화 용액이라고 하며, 이 용액의 몰농도는 포화 몰농도입니다.

과포화 용액: 포화 용액의 온도를 높이면 용해도가 증가하여 더 많은 소금을 녹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포화 용액보다 더 많은 용질이 녹아있는 불안정한 상태의 용액을 과포화 용액이라고 합니다.

재결정 과정:
냉각: 과포화 용액의 온도를 낮추면 용해도가 감소합니다. 용액 속에 녹아있던 소금 이온들은 과포화 상태가 되어 불안정해지고, 다시 결합하여 고체 소금으로 석출됩니다. 이 과정을 재결정이라고 합니다.

몰농도 변화: 온도가 낮아지면서 소금이 석출됨에 따라 용액의 몰농도는 감소합니다. 즉, 용액 속에 존재하는 Na+ 이온과 Cl- 이온의 농도가 감소하는 것입니다. 최종적으로 용액은 낮아진 온도에 해당하는 포화 용액이 됩니다.

몰농도 (M): 용액 1L에 녹아있는 용질의 몰수를 나타냅니다. 몰농도는 용액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며, 소금의 용해도와 재결정 과정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예시:
20℃에서 NaCl의 용해도는 36g/100mL입니다. 즉, 20℃ 물 100mL에 최대 36g의 NaCl을 녹일 수 있습니다. 이때 포화 용액의 몰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NaCl의 분자량: 58.44 g/mol
100mL 용액에 녹아있는 NaCl의 몰수: 36g / 58.44 g/mol = 0.616 mol
1L 용액에 녹아있는 NaCl의 몰수: 0.616 mol/0.1L = 6.16 mol/L
따라서 20℃에서 NaCl 포화 용액의 몰농도는 6.16 M입니다.

결론:
소금의 용해와 재결정 과정은 용해도와 몰농도 개념을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습니다. 온도 변화에 따른 용해도 변화를 이해하고, 몰농도를 이용하여 용액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소금의 용해와 재결정 과정을 더욱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