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 과정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공통 과목으로 **수학(상)**과 **수학(하)**를 배우게 됩니다.
**수학(상)**은 다항식, 방정식과 부등식, 도형의 방정식을 주요 내용으로 합니다.
- 다항식: 다항식의 연산, 항등식과 나머지정리, 인수분해 등을 배우며, 이를 통해 복잡한 식을 간단히 정리하고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키웁니다.
- 방정식과 부등식: 이차방정식, 이차함수, 여러 가지 방정식과 부등식을 다루면서, 방정식과 부등식의 해를 구하고, 그래프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익힙니다.
- 도형의 방정식: 평면좌표, 직선의 방정식, 원의 방정식, 도형의 이동 등을 배우며, 도형을 좌표평면에 나타내고, 방정식을 이용하여 도형의 성질을 분석하는 능력을 키웁니다.
**수학(하)**는 집합과 명제, 함수와 그래프, 경우의 수를 주요 내용으로 합니다.
- 집합과 명제: 집합의 개념과 연산, 명제와 조건, 증명 방법 등을 배우며, 논리적인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키웁니다.
- 함수: 함수의 개념, 함수의 그래프,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등을 배우며, 함수의 성질을 이해하고, 그래프를 이용하여 함수를 분석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웁니다.
- 경우의 수: 순열과 조합을 배우며, 경우의 수를 세는 방법을 익히고, 확률의 기초를 다집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공통수학이라는 과목으로 통합되어 수학1과 수학2로 나뉘게 됩니다.
수학1은 다항식, 방정식과 부등식, 경우의 수, 행렬을 주요 내용으로 합니다.
- 행렬: 행렬의 개념과 연산을 배우고, 행렬을 이용하여 연립일차방정식을 풀거나 도형의 이동을 나타내는 등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웁니다.
수학2는 도형의 방정식, 집합과 명제, 함수와 그래프를 주요 내용으로 합니다.
고등학교 1학년 수학은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연계되고, 이후 배우는 수학 과목의 기초가 되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각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다양한 문제를 풀어보면서 문제 해결 능력과 수학적 사고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 😊
반응형
'중등 고등 중간 기말 고사 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등부 수학] 고등학교 2학년 수학 교과 과정 을 설명해 주세요 (0) | 2025.01.18 |
---|---|
[고등부 수학] 고등학교 2학년 수학 교과 과정 을 설명해 주세요 (0) | 2025.01.18 |
[중학수학] 중학교 3학년 수학 교과 과정 을 설명해 주세요 (0) | 2025.01.18 |
[중학수학] 중학교 2학년 수학 교과 과정 을 설명해 주세요 (0) | 2025.01.18 |
[중학수학]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 과정 을 설명해 주세요 (0) | 2025.01.18 |
댓글